홍성에 최치원의 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를 방문해봐요. 최치원 선생은 경주최씨의 시조로 869년(경문왕9) 13세에 당나라에 유학해서 874년에 급제하여 황소의 난 때 고변의 종사관으로 토황소격문을 초하여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친 사람입니다. 그리고 신라에 와서 변화를 시도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관직을 내려놓고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고 합니다. 홍성군에 자리한 최치원의 유적지에는 잘 관리된 공중화장실을 비롯하여 주차공간도 갖추고 있습니다. 서기 868년 신라 현강왕때 12살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 가는 아들에게 10년 안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니 아버지라고 부르지 말라는 말에 '인백기천'이라고 하며 떠났다고 합니다. 신라 말기에 894년 시무책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상소하여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바꿀 것을 요구.. 더보기 이순신 백의 종군길에서 만나는 아산시의 해암리 게바위 염치읍에서 현대자동차공장으로 가는 624번 지방도로를 따라 7.3㎞ 지점에 해암2리(신성마을) 마을 회관 뒤 논 옆에 자리하고 있는 바위가 하나 있는데요. 예전에는 바위의 주변까지 바닷물이 들어왔었다고 합니다. 마을 쪽에 배가 정박하던 나루가 있었으며 현재 게바위 주변은 정비가 되어 있어서 이순신의 흔적을 따라갈 수가 있습니다. 게바위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백의종군길에 올랐던 이충무공이 노모의 시신을 맞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게바위는 아산시가 조성한 둘레길인 '이순신백의종군길' 중 거점 중 한 곳입니다. 인주면 해암리의 게바위 주변에 '대설국욕'(大雪國辱)과 '모야천지'(母也天只) 글귀를 새긴 비석 2기를 세워두었습니다. 이곳 비석에 새긴 글자는 이순신의 생애와 사상 등을 연구해 온 노승석..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5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