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떠나기

당진의 합덕여행, 합덕의 전통시장과 신합덕성당을 돌아보았어요.

728x90
반응형

당진하면 보통 생각하면 바다를 생각하기 쉬운데요. 당진은 다양한 농산물이 나오는 지역이어서 충청남도를 비롯하여 여러곳에서 유명세가 있는 먹거리를 만드는 곳이기도 합니다. 인플레로 인해서 모두가 쉽지 않은 시기이지만 로컬푸드를 통해 상생을 생각해야 될 때이기도 합니다. 

당진의 합덕면을 찾았는데요. 마침 농산물을 수확하고 있어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인류의 역사에서 오랜 시간 가장 중요한 자원은 농사와 관련된 것들이었습니다. 과거나 현재에 근본적으로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결국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중요한 사회이슈일 수 밖에 없습니다. 

식량의 상당 부분을 수입해서 먹고살고 있는 요즘이지만 과거에는 지역사회에서 생산되는 특정한 농산물들이 있었습니다.  당진시 역시 지역마다 특화 품목들이 있는데요. 당진에서 가장 유명하기도 한 황토감자와 황토고구마가 있으며 순성면의 딸기, 신평면의 인삼과 송악읍의 황토감자, 고대면의 고구마 등이 있는데 합덕읍에서도 감자가 많이 생산된다고 합니다. 

호국보훈의 달이라는 6월에  하얀 감자꽃이 지고 나면 덩이줄기에 알맹이가 맺히기 시작합니다. 6월 말쯤에 수확한 햇감자가 가장 맛있어서 하지감자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당진 합덕에는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전통시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름감자는 보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영양분도 좋은데 감자를 보면서 버그내 장터이기도 한 합덕 전통시장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이곳에는 한우특화거리도 조성이 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합덕읍은 합덕 부곡(合德部曲)으로 불렸던 곳이라고 합니다. 부곡(部曲)은 조선시대에는 거의 사라졌지만 고려시대까지는 상당히 중요한 행정구역 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민물매운탕을 먹어보지 못해거 그런지 메기가 들어간 매운탕이 먹고 싶어지네요.  

삽교호방조제 완공으로 인해 침체기를 맞기 전 국도 32번의 경유지로서 당진에서 천안, 서울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한 유일한 길목에 합덕 전통시장이 자리했었다고 합니다. 전통시장에는 다양한 먹거리도 있는데 특히 참게와 미꾸라지가 눈에 뜨입니다.  

합덕 전통시장과 합덕 중앙시장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전통시장 특성화 첫걸음 기반조성사업에 지난 3월 선정되었는데 향후 문화관광형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 기반조성을 지원하는 사업이기도 합니다.  

당진 합덕에서 잘 알려진 성당은 합덕성당이지만 합덕 전통시장에서 멀지 않은 곳에 신합덕성당도 있는데 신합덕성당은 1960년에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신합덕성당이 자리한 이곳 합덕읍 운산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대상지인데 합덕읍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4년 동안 152억 원을 투입해 합덕읍 운산리 일원 16만 4166㎡(약 4만 9700평)를 대상으로 골목상권 활성화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again 합덕 1970’을 지향하고 있는 신합덕성당이 있는 이부근은 버그내 순례길로 연결되며 버그내라는 이름으로 연결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노란색의 여름꽃이 피어나고 있는 합덕읍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충남 서북부지역의 농업 중심지 및 교통 요충지로써 인구가 2만 3000명에 달하기도 했으며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던 곳이었지만 많은 것이 잊혀졌다고 합니다. 이제 도시재생으로 바뀌게 되는 합덕의 이야기를 계속 전달해보기 위해 자주 방문해봐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