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떠나기

구미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큰 고분군이라는 구미의 낙산리고분군

728x90
반응형

구미에서 가장 큰 고분군이라고 불리는 곳은 구미의 낙산리에 자리한 고분군입니다.  1990년 10월 31일에 사적 제336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면적은 229,245㎡에 이르는 구미에서 가장 큰 고분군으로 대형분·중형분·소형분 200여 기가 분포하고 있는데  3세기에서 7세기 중반기의 가야와 신라의 무덤들로 총 205기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미 낙산리 고분군과 같이 고분이라고 정의가 되는 것은 중국에서는 지하에 시신을 매장하고 지상에 아무런 시설을 가하지 않은 것을 묘(墓)라고 하고, 반대로 지상에 흙을 쌓아 올려서 시설을 가한 것을 분(墳)이라고 하여 묘와 분을 엄격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무덤들은 당시 이 지역에 존재한 세력의 크기와 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원래 구미의 낙산 일대는 가야시대와 신라 진흥왕 때 일선주(一善州)의 소재지로서 대규모의 가야, 신라고분이 밀집, 형성되어 있었다. 9기의 고분을 발굴하여 가야시대 등잔을 비롯하여 400여 점의 유물을 수습하여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 중이라고 합니다. 

 

 

사람도 죽으면 분해되기 때문에 위생상이나 전염병이 생기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인간의 시신을 부패로부터 위생적으로 처리하려는 데서 발생한 것이 무덤이었습니다. 

 

옛날사람들은 왜 이렇게 고생스럽게 고분군을 만들었을까요. 선사시대에 고인돌이나 고분군을 만드는 것은 그 나라의 경제적인 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냥 사람 한 명이 들어갈 땅을 파고 묻으면 가장 효율적이지만 힘이 있던 사람들은 훨씬 큰 무덤을 만들면서 이웃부족이나 국가에게 과시를 한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쓸데없는 데에 인력을 동원할 수 있을 정도로 여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함부로 이곳을 침략할 여지를 주지 않은 것이며 그것은 지금도 비슷합니다. 

 


낙산리 고분군을 올라가서 돌아보았습니다. 매장은 수혈식(竪穴式)과 횡혈식(橫穴式)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움무덤에서 출발하여 돌널무덤·돌덧널무덤 등이 되었고, 후자에 속하는 것으로 돌방무덤·벽돌무덤이 있습니다. 

 


구미 낙산리 고분군은 1915년 일본 학자 구로사카[黑板勝美]에 의해 금오산 고적, 도리사와 함께 1차 조사가 있었고, 이어서 1917년 일본 학자 이마니시[今西龍]에 의하여 2차 조사가 있었다고 합니다. 연차적으로 복원·정비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부대시설도 갖추어져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고분군은 역사적인 가치가 있습니다.

선사시대의 무덤은 각 시대 연구에서 취급하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 경향이고, 고대국가(古代國家) 형성 이후(역사시대)에 속하는 무덤만을 고분이란 이름으로 다루게 되었다고 합니다. 

낙동강을 따라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많은 유적이 남아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낙산리고분군(사적 336호)과 황상동고분군은(사적 470호)는 3~6세기 구미의 고대역사 비밀을 풀어줄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는 국가사적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문화재청과 경북도로부터 국·도비를 지원받아 문화재 보호를 위한 봉분정비, 산책로 조성 등을 추진, 문화재 보호는 물론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할 에정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