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떠나기

탱자나무로 유명한 석성동헌

728x90
반응형

지역마다 명소마나 한 그루씩은 심어져 있는 나무 덕분에 더 의미가 있는 곳들이 있습니다. 향토유적 제85호이자 수령 370년이 넘은 것으로 보이는 탱자나무 고목이 자리하고 있는 석성동헌, 무량사 극락전과 명부전 앞을 지키고 있는 느티나무, 매화나무, 동백나무에 얽힌 이야기로 가득한 무량사등 충남에는 명소와 나무가 연결된 곳이 적지 않습니다. 



상량문에 의하면 1628년(인조 6)에 건립되었으나 동편과 서편에 있는 망와(望瓦 : 지붕마루 끝에 대는, 와당이 달린 암키와)에 강희(康熙) 51년(1712, 숙종 38)과 건륭(乾隆) 2년(1737, 영조 13) 등의 명문이 있는 조선시대의 석성현 관아 동헌인 석성동헌입니다. 




석성동헌의 외삼문은 태극문양으로 대문으로 되어 있는데요. 좌측 문이 열려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 볼 수 있습니다.



정면 4칸, 측면 3칸의 홑처마 팔작지붕건물인 동헌 건물은 정면 4칸 중 좌측 2칸통칸은 우물마루로 된 넓은 대청으로 만들어 지방 수령의 집무공간으로 사용하고, 너머지 2칸통칸에는 앞에 툇마루가 달린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우물은 언제까지 사용되던 것인지 모르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수령이 400여년이나 되었다는 탱자나무는 남쪽 지방에서는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고, 감귤의 대목으로도 심는다고 합니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아주 오래전에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곳의 나무는 향토 유적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의 탱자나무는 천연기념물 제78호,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의 탱자나무는 천연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석성동헌의 구조는 자연석기단 위에 덤벙주초석(둥글넓적한 자연석을 그대로 놓은 주춧돌)을 놓고 전면 1렬에만 원형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모두 방형기둥을 세웠습니다.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건축양식은 간결한 납도리계통이며, 지붕틀은 5량가구로서 종량(宗梁) 위에는 제형대공을 세워 종도리와 함께 지붕 하중을 받쳤습니다. 





석성동헌이 관리하던 석성현의 이름은 백제의 진악산현(珍惡山縣), 신라의 석산(石山)이었는데 고려 초에 석성(石城)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조선 태종 14년(1414)에 이산(尼山)과 합하여 이성(尼城)으로 불렀다가 1415년에 다시 분리하여 석성 현감을 두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